Radio

Charles Kitchin says, BEAST Receiver

라디오에요 2018. 11. 21. 23:12



Q1 주위의 스테이지는 PNP 트랜지스터 BC557로 구성되어 있으며, 튜닝 회로 (L2 / C22, C23)를 안테나에서 분리합니다.

강한 송신기가 근처에 있다면 차단 필터 (C1 / L1)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캐리어를 거의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강한 송신기의 주파수와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Poti P1은 HF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필요한 만큼 조정해야 합니다.

약한 스테이션이 더 강한 스테이션보다 더 잘 분리될 수 있습니다.


Q1이 내장된 HF 전치 증폭기는 기본 회로에서 설계되어, 안테나 및 공진 회로의 비 반응 조정에 사용됩니다 (저 임피던스 입력, 고 임피던스 출력). 


Q2 주변의 스테이지인 FET BF245는 회로의 스팀을 제거하는 품질 배율기 역할을 하며, 위에서 언급한 Hartley 회로에서 구현된다. 

P3를 사용하면, AM 또는 SSB 신호 바로 위의 진동 적용 직전까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P2 및 P4는 P3의 제어 경로를 제한하는데 사용되므로, 따라서 피드백을 위한 필요한 제어 경로가 전위차계potentiometer의 전체 제어 경로에 분산될 수 있어, 조작이 다소 간소화됩니다.   


Q3는 실제 오디오 스테이지이며, HF를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이 단계는 안정적인 비율을 위해 피드백 단계 Q2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Q2 및 Q3는 모두 게이트 측에서 공진 회로의 핫 엔드에 연결된다.

Q4는 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으로 인한 감쇠를 보상하기 위해 BC547 (npn)이 있는 저주파수 프리 앰프입니다.

이 단계의 일부인 수많은 RC 필터는 LF 신호의 간섭없는 처리 (LF 분기의 HF 잔류물 제거, HC의 5kHz 휘슬 신호 억제 또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채널 영향의 억제)에 사용됩니다.


좋은 음성 인식 (아날로그 전화기)을 위해서는 300Hz ~ 3kHz의 주파수 응답으로 충분합니다.

적절한 C를 변경하거나 청취 습관에 따라 재량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http://www.elektronik-labor.de/HF/BEAST.html.

http://theradioboard.com/rb/viewtopic.php?t=5800


Re: 1971 "tube style" FET regen circuit help!

Post  by DrM » Thu Aug 21, 2014 9:35 am  


It based upon the Beast receiver at http://www.elektronik-labor.de/HF/BEAST.html.
T1 is the detector and T3 is the actual Q-Multiplier which is controlled by the emitter follower T2.
P3 is used to preset a smooth regeneration control.


Now..when you insert a resistance in series with the output circuit of a regen detector, either by using a resistor (or from the resistance of a series inductor or transformer), you "deregulate" the detector supply voltage.

That is: changes in signal strength will increase or decrease the voltage drop across this resistance and change the gain of the detector, creating frequency drift.

But if you instead take the audio off the source instead (off the bias resistor) then drift is minimized because changes in signal strength change the bias which then changes detector gain but this really "DC negative feedback".

For example: an increase in signal strength causes more detector current which increases the drop across the source resistor which then increases the bias voltage which in term DECREASES detector gain.

So this tends to be self compensating.

I hope this makes some kind of sense.

Now, if you insert a SERIES resistive control between ANY detector's output (plate, drain, or collector) a change in this resistance causes a change in detector supply voltage and therefore a change in GAIN.

So, this changes the amount of regeneration..but...any series resistance in the output circuits of detectors also "deregulates" their supplies, so now an increase in signal level will cause more current to flow which drops the detector voltage and decreases feedback.

So, operationally, you try to adjust the regen level, it overshoots, then it must be done over and over.

It's kind of like a slow version of hysteresis and you can never get it quite right and never get very close to the threshold of oscillation. That causes a real loss of sensitivity and selectivity, as well as lots of frequency drift


qrp-gaijin »


자, 저항 (또는 직렬 인덕터 또는 변압기의 저항)을 사용하여, 재생 검파기의 출력 회로와 직렬로 저항을 삽입할 때, 검파기의 공급 전압을 "deregulates규제 해제" 합니다.


즉, 신호 강도의 변화는 이 저항에 걸리는 전압 강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검파기의 게인을 변경하여, 주파수 드리프트를 생성합니다.

하지만 대신에 소스에서 오디오를 꺼내면 (바이어스 저항 제외) 신호 강도의 변화가 바이어스를 변경하기 때문에, 드리프트가 최소화됩니다.


이 바이어스가 검파기의 게인을 변경하지만, 실제로는 "DC 네가티브 피드백"입니다.


예를 들어, 신호 강도가 증가하면, 더 많은 검파기 전류가 발생하여, 소스 저항기의 전압 강하가 증가하여 결국 검파기 이득이 감소하는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합니다.


그래서 이것은 자기 보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나는 이것이 일종의 이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제 직렬 저항 컨트롤을 어느 검파기의 출력 (플레이트, 드레인 또는 콜렉터) 사이에 삽입하면, 이 저항의 변화로 인해 검파기의 공급 전압이 변경되고, 게인이 변경됩니다.


따라서, 이것은 재생량을 변화시키지만, 검파기의 출력 회로에 있는 어떤 직렬 저항도 그들의 전원을 "deregulates규제 해제" 하므로, 신호 레벨이 증가하면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검파기 전압이 떨어지며 피드백를 감소시킵니다.


그래서, 작동적으로, 재생 레벨을 조정하려고 하면 오버 슛이 되고, 계속해서 반복해야 합니다.

그것은 일종의 히스테리시스의 느린 버전과 같아서 절대 옳지 않고, 절대로 발진의 임계점에 가까이 가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감도와 선택도가 크게 떨어지고, 주파수 드리프트도 많이 발생합니다.

-------------------------------------------------------------------------------


qrp-gaijin »


다시 말하지만, Kitchin의 주장은 진동식 재생 검파기가 있을 경우, 드레인 저항이 입력 신호 레벨에 따라 Vds 변화를 유발한다는 것입니다

(즉, Vgs 변경으로 인해, Vds가 변경됨). 


Vds 변동은 이득 변화를 일으킨다. 

게인 변동은 드리프트를 일으킵니다.


내 생각에 시스템은 진동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득 압축을 입력하여, 진폭을 자체 제한합니다. 

회생 루프에 신호(안테나와 발진 주파수에서)를 주입하면, 발진 진폭이 증가합니다. 


드레인 저항이 없으면, 평균 Vds는 발진 진폭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발진 시스템은 주입된 입력 신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진폭을 자체 제한합니다. 

그러나 드레인 저항을 사용하면, 평균 Vds가 발진 진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다시 말해서 안테나에서 RF 신호를 재생 루프에 주입하면, 발진 진폭이 변하고, 이로 인해 평균 Vds가 이동하며, 이로 인해 발진 증폭기의 이득 압축 및 이득 제한 동작이 변경됩니다. 

그런 다음 입력 신호를 제거하면, 오실레이팅 시스템이 이전과 다른 평균 Vds로 안정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 상태 발진기 동작이 재생 루프에 신호가 일시적으로 주입됨으로써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


'Ra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CAF Filter  (0) 2018.11.26
사진  (0) 2018.11.22
A TRANSFORMER TUTORIAL  (0) 2018.11.20
WBR 재생식, OCR 재생식, HCPL4562 포토 IC  (0) 2018.11.20
FET 바이어스  (0) 2018.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