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臣智或加優呼의 해석2

라디오에요 2009. 1. 23. 08:15

 

 

 

 

 

辰王治月支國 臣智或加優呼 臣雲遣支報 安邪踧支濆 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 之號
其官有 魏率善 邑君 歸義侯 中郎將 都尉 伯長

辰王治月支國   辰王治達支國
=辰王은 月支國을 다스렸다. 辰王은 達支國(달지국)을 다스렸다.

臣智 或加優呼 (    ) 之號   辰智 或加優呼  (    ) 之號

=臣智는 간혹 ~라는 호칭으로 더욱 높여서 불렀다.
=辰智는

或(혹) ①혹시(或是) ②간혹
加 더하여, 더욱.
優 우대(優待)하다. 특별 대우하다.
呼 (사람을) 부르다.
號 [명사] 이름. 명칭.

之號= ~라는 호칭

臣智或加優呼 臣雲遣支報 安邪踧支濆 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 之號
=臣智는 간혹 臣雲국은 遣支報(견지보), 安邪국은 踧支濆(축지분)라고 더욱 높여서 불렀고,
臣離兒(신리아)와 不例(불례)는 拘邪국의 秦支의 廉號(겸호, 겸칭)이다.

臣(신)의 離兒(리아)와 不例(불례,부리)는 拘邪국과 秦국의 支의 廉號(겸호, 겸칭)이다.

臣雲遣支報 辰雲遣翅報 辰沄繾翅報
安邪踧支濆 安邪踧支濆 案斜踧岐賁
臣離兒不例 知離兒夫樓 申釐倪叔存厲
拘邪秦支廉 加邪秦支廉 珂洛秦弁支廉

邪= 간사할 사, 그런가 야, 나머지 여, 느릿할 서.

邪란 발음은 '사'로도 발음되나, '야'로도 발음됩니다.


그래서 拘邪(구야)= 加邪(가야)= 珂洛(가락) 으로 연결되는 나라이름이란 걸 확연히 알 수 있죠.


구야국[狗耶國]= 가야(伽倻)·가야(加耶)·가락(駕洛)·가라(加羅)·가량(加良)이라고도 한다. '구야(狗邪)’는 가야에 대한 한자 표기이다.

구야국[狗耶國]을 설명하는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것처럼

羅= 那= 耶 는 서로 '라'로 발음으로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는 건 널리 알려져 있죠. 신채호는 加羅= 大地 라고 설명하더군요.
흔히 '國=나라'로 표기하듯이, 那,羅= 나라,땅으로 해석될 수 있는거죠.

或加優呼 에서 '加'을 좌계님은 '덧붙여'라고 해석했군요.

*拘邪(구야)= 加邪(가야)= 珂洛(가락)

통설에 빈틈없다는 걸 재인식시켜 줍니다.

--------------------------------------

楚離國(초리국)
卑離國(비리국)

이 있어 나라명이 될거라 봤는데.. 흠..
님의 의견을 일정부분 받아 들인다면..

知離兒夫樓= 臣離兒不例

夫樓라는 고구려 많이 쓰는 사람이름인데 왜 여기에 붙었을까요?

廉= ㉠청렴하다(淸廉--), 결백하다(潔白--)
㉡검소하다(儉素--), 검박하다(儉朴--: 검소하고 소박하다) ㉦값싸다, 값이 헐하다

겸칭이다는 말이 일리가 있군요.
謙稱 겸칭 ①겸손(謙遜)히 일컬음 ②겸사(謙辭)하여 부르는 칭호(稱號)

臣離兒 不例 拘邪 秦 支廉 之號
= 臣離兒 와 不例는 拘邪국의 秦支의 廉號(겸칭)이다.

知離兒 夫樓 加邪 秦 支 廉之號
= 知離兒와 夫樓는 加邪국의 秦支의 廉號이다.

--------------------------------------------

臣離兒(신리아) 知離兒(지리아) 申釐倪(신리예)

釐 다스릴 리(이), 복 희, 보리 래(내)
ⓐ복 (희)
ⓑ행복 (희)
ⓒ길상(吉祥) (희)
ⓓ기쁜 일 (희)
ⓔ경사 (희)
ⓕ제육(祭肉) (희)
ⓖ보리 (래)
ⓗ밀 (래)
ⓘ땅 이름 (래)
㉠다스리다
㉡정리하다
㉢개정하다
㉣주다
㉤이(수, 척도, 무게, 돈의 단위)
㉥아주 작은 수(일의 백 분의 일)

倪 어린이 예/ 다시 난 이 예
㉠어린이
㉡우리들
㉢끝, 가, 가장자리
㉣다시 난 이(=鯢
㉤성가퀴(城--: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가냘프다
㉦연약하다(軟弱--)
㉧흘겨보다
㉨오만하다(傲慢--)
㉩나누다

이 단어들은 발음의 폭이 넓은 단어들입니다.
사투리같이 부르는 소리가 다양하다는 뜻이죠.

 

叔存厲 (叔는 원문 사진이 없기 때문에..오타가 났을 수도 있습니다. 그대로 채용해 본다면.. 숙주리, 숙지리... 이렇게 발음했을 것 같군요)

叔 shū 아재비 숙
存 cún 있을 존
厉[厲] lì 엄할 려

不例

不 bù 아니 불·부
例 lì 본보기 례

역시나, 臣不例[신부리, 신부루, 신부례, 신부내] 이렇게 발음했을 가능성이 높군요.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당전서 말갈대신에 옥저  (0) 2009.01.23
辰王不得自立爲王의 해석.  (0) 2009.01.23
점제(秥蟬)  (0) 2009.01.20
菊露秋寫(국로추사) 辰斯王(진사왕) 정서 1/2  (0) 2009.01.20
심당전서 이비가지  (0) 2009.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