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借字한 한자에만 얽매여 실패한 예로 가장 큰 것은 혁거서간, 남해거서간에 대한 거서간 문제이다.
원래 거서간만으로 왕호가 될리 없음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하기 쉽다.
그런데 역대의 수많은 사학자들이 '거서간'을 '왕호'라 하며 만족한 것은 치욕의 하나이다.
거서간. 이미 말한 대로 혁거(赫居, 춋코)는 '첫번째'라는 뜻이고, 西는 소유격 조사이므로 혁거서간은 '첫째 왕'이라는 뜻이며, 남해거는 '다음 차례'라는 뜻이므로, 남해거서간은 '다음 왕'이라는 뜻이 가장 분명하다.
그런데 삼국사기는 혁거세거서간이라고 쓰고 있다. 그리고 혁거세는 휘라 해석하고 거서간은 왕 혹은 귀인의 칭호라고 쓰고 있다.
이는 거서간이라고 멋대로 훈을 붙인 것이 결국 이렇게 잘못되고 말았다.
처음에 첫번째왕이라는 신라어를 쓸 때 '赫居西干(혁거서간)'이라는 한자를 빌려 썼는데 어느 사이에 신라어인 '첫번째 왕'은 잊혀지고 '혁거서'에만 주의하게 되었다.
'혁거서'로는 의미가 없으므로 '혁거세'로 하자, 요컨데 분명히 누리(世)에 산다는 광명이세의 불설을 빌리기로 하자는 식으로 해서 혁거세로 변하게 되었다.
그렇게 하는 사이에 어떤 길고에는 옛날대로 혁거서간으로 되어 있고 어떤 기록에는 혁거세로 되고 말았다.
그 증거로는 유희령의 '동국사략'에서 단지 赫만을 휘로 삼은데서 알수 있다.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때 이러한 '거세'와 '거서'의 두 기록에 고심한 것인지, 혹은 그 이전 역사가가 이미 그에 고심해서 '거서간'만을 왕호라 새긴 것을 채록한 것인지 그 언저리의 일은 불분명하지만, '거세', '거서'를 중복한 것은 '골계'라 말하지 않을 수없다. 삼국유사는 '혁거세왕'으로 쓰고 있다.
'혁거세왕'이란 바꿔 말하면 혁거서간을 '혁거세간'으로 고쳐 쓴 것이다.
그러나 삼국유사도 거서간의 기록에 고심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특별히 위호로서 '거서간'을 들고 있으나 왕호이외에 위호가 있는 왕이 있을 리가 없다.
사실 위호를 따로 가진 왕은 없다. 자칭 알지, 거서간 등은 분명 위조이다.
남해거서간에 대해서 삼국유사는 바르게 '남해거서간'이라 쓰고 있으나 삼국사기는 또 틀려서 '남해차차웅'이라 쓰고 있다.
이는 역시 혁거세거서간처럼 남해도 '다음'이라면 '차차'도 '차'이므로 중복되어 있다.
*역사비평, 2003년 봄호, 박창화, 신라사에 대하여 406~407p.
'新羅(신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基臨尼今紀(기림니금기) 원년- 印觀(인관)과 署調(서조) (0) | 2009.09.28 |
---|---|
파사이사금기 5년조. 施優在多 何爲 (0) | 2009.09.27 |
내물왕비의 나이문제. (0) | 2009.06.09 |
미추왕릉 축조시기 70~ 80년 하향해서 봐야.. (0) | 2009.06.09 |
婆娑尼師今記(파사이사금기) 4년(AD129년) 정서. (0) | 2009.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