紇古大母紀(흘고대모기)

紇古大母紀(흘고대모기) 1장

라디오에요 2016. 3. 11. 03:25

 

 

 

紇古大母紀(흘고대모기) 1장


紇古者吐解女也
母曰今堂 萬公之女也 以吐解糟康之妻 尊爲壤聖
其母月堂仙母 以月光狄公之女 有秋水芙蓉之姿
紇古美如月堂 色似吐解 好聲色 善歌舞 十四入儒理後宮
上愛之 呼以蝶兒 言其輕舞也 生冬公太子 未幾上崩 仍事父帝旁
通尹公 尋爲其妻 生子吉公 善音律 好文章 人稱天上仙官
金神之夏 許婁奉帝 入京 紇古方與尹公行歡 忽聞軍至
紇古恐付尹公曰 "奈何" 尹公曰 "我等無罪

紇古(흘고)는 吐解(토해)의 딸이다.


어머니는 今堂(금당)이며, 萬公(만공)의 딸이다.


(今堂(금당)은) 吐解(토해)왕의 糟康之妻(조강지처)로서, 尊(존)하여 壤聖(양성)이 되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月堂仙母(월당선모)인데, 月光(월광)과 狄公(저공)사이의 딸로서, 秋水芙蓉(추수부용)의 자태가 있었다.
紇古(흘고)의 미모는 月堂(월당)과 닮았고, 얼굴은 吐解(토해)를 닮았다.

聲色(성색)을 좋아했고, 노래와 춤을 잘 했다.
14살 때 儒理王(유리왕)의 後宮(후궁)으로 들어갔는데, 상은 그녀를 좋아하였고, 蝶兒(접아)라고 불리었는데, 輕舞(경무)에서 나온 말이다.
冬公太子(동공태자)를 낳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儒理王(유리왕)이 崩(붕)하자, 이내 父帝(부제, 탈해왕)의 곁을 모시였다.
(紇古(흘고)는) 尹公(윤공)과 통하여, 마침내 그의 처가 되어, 아들 吉公(길공)을 낳았다.
(吉公(길공)은) 音律(음율)을 잘 하였고, 文章(문장)을 좋아하였다.

사람들은 天上仙官(천상선관)이라 불렀다.
金神(금신, 庚申, AD120年) 여름, 許婁(허루)는 帝(제)를 봉하여 서울로 들어갔다.
紇古(흘고)는 이윽고 尹公(윤공)과 사랑을 행하였다.

갑자기 군대가 도착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紇古(흘고)는 놀라 尹公(윤공)에게 붙으며 말하길 "어찌 합니까?" 라고 하였다.

*金神(금신, 庚申, AD120年)
*月堂(월당)은 月光(월광)과 狄公(저공)사이에 태어난 딸.
*月堂(월당)의 용모는 "가을비를 맞은 연꽃의 자태"였다.
*紇古(흘고)는 외할머니 月堂(월당)과 닮았고, 얼굴은 아버지 吐解(토해)를 닮았다.
*聲色(성색) = 음악과 색.
*月光(월광) --- 月堂(월당) --- 今堂(금당) --- 紇古(흘고). (母係)
*탈해왕 즉위년 = AD107년. AD120년은 탈해왕 14년에 해당됨.
*AD2017년 - AD120년 = 1897년 前의 이야기.

 

 

紇古者吐解女也
母曰今堂 萬公之女也 以吐解糟康之妻 尊爲壤聖

其母月堂仙母 以月光狄公之女 有秋水芙蓉之姿

紇古美如月堂 色似吐解 好聲色 善歌舞 十四入儒理後宮

上愛之 呼以蝶兒 言其輕舞也 生冬公太子 未幾上崩 仍事父帝旁

通尹公 尋爲其妻 生子吉公 善音律 好文章 人稱天上仙官

金神之夏 許婁奉帝 入京 紇古方與尹公行歡 忽聞軍至

紇古恐付尹公曰 "奈何" 尹公曰 "我等無罪

 

*金神(금신, 庚申, AD120年)

 

 

紇古者吐解女也
紇古(흘고)는 吐解(토해)의 딸이다.

 

母曰今堂 萬公之女也

어머니는 今堂(금당)이라고 하는데, 萬公(만공)의 딸이다.

 

以吐解糟康之妻 尊爲壤聖

(今堂(금당)은) 吐解(토해)왕의 糟康之妻(조강지처)로서, 尊(존)하여 壤聖(양성)이 되었다.

 

壤은 土를 의미하는데.. 왜 壤이란 글자를 썼는지 의문이 드는군요.

탈해왕이 죽자, "壤井陵門(양정릉문)에 장사하였다." 이런 구절이 있는 걸로 봐서..

壤聖(양성)이란 말은 壤井(양정)과 관련있는 것 같군요.

 

其母月堂仙母 以月光狄公之女 有秋水芙蓉之姿

그녀의 어머니는 月堂仙母(월당선모)인데, 月光(월광)과 狄公(저공) 사이의 딸로서, 秋水芙蓉(추수부용)의 자태가 있었다.

 

月堂(월당)은 月光(월광)과 狄公(저공) 사이에 태어난 딸입니다.

月堂(월당)의 용모는 "가을비를 맞은 연꽃의 자태"였다.

"가을비를 맞은 연꽃의 자태"가 어떤 외모인지 모르겠군요.

 

紇古美如月堂 色似吐解 好聲色 善歌舞

紇古(흘고)의 미모는 月堂(월당)과 닮았고, 얼굴은 吐解(토해)를 닮았다. 聲色(성색)을 좋아했고, 노래와 춤을 잘 했다.

 

*聲色(성색) = 음악과 여색.

紇古(흘고)는 외할머니 月堂(월당)과 닮았고, 얼굴은 아버지 吐解(토해)를 닮았다.

 

*月光(월광) --- 月堂(월당) --- 今堂(금당) --- 紇古(흘고). (母係)

 

十四入儒理後宮 上愛之 呼以蝶兒 言其輕舞也

14살 때 儒理王(유리왕)의 후궁으로 들어가니, 상은 그녀를 좋아하였고, 蝶兒(접아)라고 불리었는데, 輕舞(경무)에서 나온 말이다.

 

紇古(흘고)는 가무에 능하였는데, 춤추는게 나비처럼 아주 가벼웠나 봅니다.

이로 미루어, 紇古(흘고)는 몸집은 작고, 키가 작은 여자였을 것 같습니다.

 

生冬公太子 未幾上崩 仍事父帝旁

冬公太子(동공태자)를 낳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儒理王(유리왕)이 崩(붕)하자, 이내 父帝(부제, 탈해왕)의 곁을 모시였다.

 

탈해왕이 즉위한 연도는 AD107년.

그런데, 유리왕은 탈해가 AD107년, 6월에 집권하고 나서, 그 해 9월에 사망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탈해왕은 AD130년 8월달, 파사이사금 5년에 사망하였는데.. 이때, 탈해왕은 太君(태군)이란 호칭으로 불리웠습니다.

 

*阿孝今堂皆殉之 不能禁  (파사이사금기에서)

= 阿孝(아효)와 今堂(금당)은 모두 순장을 하니, 금할 수 없었다.

 

탈해왕이 죽자, 阿孝(아효)와 今堂(금당)은 함께 순장하였다고 합니다.

今堂(금당)는 탈해왕의 처.

 

通尹公 尋爲其妻 生子吉公

(紇古(흘고)는) 尹公(윤공)과 통하여, 마침내 그의 처가 되어, 아들 吉公(길공)을 낳았다.

*尋(심) = 이윽고, 얼마 안 되어.
尹公(윤공)과 紇古(흘고)는 부부사이. 아들은 吉公(길공).

善音律 好文章 人稱天上仙官(吉公(길공)은) 音律(음율)을 잘 하였고, 文章(문장)을 좋아하였다. 사람들은 天上仙官(천상선관)이라 불렀다.


金神之夏 許婁奉帝 入京

金神(금신, 庚申, AD120年) 여름, 許婁(허루)는 帝(제)를 봉하여 서울로 들어갔다.


紇古方與尹公行歡 忽聞軍至 紇古恐付尹公曰 "奈何"

紇古(흘고)는 이윽고 尹公(윤공)과 사랑을 행하였는데, 갑자기 군대가 도착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紇古(흘고)는 놀라 尹公(윤공)에게 붙으며 말하길 "어찌 합니까?" 라고 하였다.


*行歡(행환) = 남녀간의 情事.